맞벌이 가정과 양육 부담이 큰 부모님을 위한 아이돌봄 지원사업! 신청 대상, 지원 금액, 이용 방법까지 자세히 알려드립니다.
📌 아이돌봄 서비스란?
아이돌봄 서비스는 맞벌이, 한부모 가정 등 부모의 육아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가 지원하는 돌봄 서비스입니다.
전문 교육을 받은 아이돌보미가 가정을 방문하여 육아를 지원하며, 연령과 서비스 유형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이 제공됩니다.
✅ 정부 지원이 포함된 서비스로 소득 기준에 따라 돌봄 비용 일부 또는 전액을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.
👨👩👧👦 지원 대상
다음 조건에 해당하는 가정은 정부 지원을 받아 아이돌봄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✅ 만 3개월 ~ 만 12세 이하 아동을 양육하는 가정
✅ 맞벌이, 한부모, 장애인 가정 등 양육 공백이 발생하는 가정
✅ 중위소득 150% 이하 가구 (소득 기준에 따라 차등 지원)
💡 소득 기준에 따라 지원 금액이 달라지므로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.
💰 이용 요금 및 정부 지원 비율
아이돌봄 서비스는 시간제와 종일제로 나뉘며, 소득에 따라 이용 요금이 차등 지원됩니다.
📌 시간제 돌봄 서비스
- ✅ **기본형(A형):** 1시간당 12,180원
- ✅ **종합형(B형, 가사 포함):** 1시간당 15,830원
📌 2025년 소득 유형별 정부 지원 비율
소득 유형 | 중위소득 기준 | 정부 지원율 | 본인 부담금 |
---|---|---|---|
가형 | 75% 이하 | 85% | 15% |
나형 | 75~120% | 60% | 40% |
다형 | 120~150% | 30% | 70% |
라형 | 150~200% | 15% | 85% |
마형 | 200% 초과 | 0% | 100% |
💡 야간(22시~06시) 및 휴일 이용 시 50% 추가 요금 부과됨
📌 종일제 서비스 (주 40시간 이상)
- ✅ 기본 돌봄 서비스 제공 (맞벌이 부모가 장시간 근무하는 경우 추천)
- ✅ 월 기본 요금: 약 176만 원 (소득에 따라 50~90% 지원 가능)
💡 소득 기준에 따른 지원 비율은 정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.
📝 신청 방법
아이돌봄 서비스는 온라인 또는 방문 신청이 가능합니다.
📱 온라인 신청 방법
- 📌 아이돌봄 서비스 공식 홈페이지 접속
- 📌 회원 가입 및 로그인
- 📌 서비스 유형 및 시간 선택
- 📌 소득 기준 서류 제출 (정부 지원 신청 시)
- 📌 담당 기관의 승인 후 돌보미 매칭 진행
🏢 방문 신청 방법
- 📌 거주지 관할 아이돌봄 지원센터 방문
- 📌 신청서 작성 및 제출
- 📌 소득 기준 서류 제출 후 지원 대상 확인
- 📌 돌보미 매칭 진행 및 서비스 시작
⚠️ 주의사항
- ❗ 서비스 이용 시간 초과 시 추가 요금 발생 가능
- ❗ 서비스 취소 및 변경은 최소 24시간 전 요청 필수
- ❗ 소득 기준 변동 시 정부 지원 비율도 변경될 수 있음
- ❗ 돌보미 매칭 후 최소 1회 면담 후 이용 결정 가능
📞 문의 및 고객센터
- 📍 아이돌봄 서비스 상담센터: ☎ 1577-2514
- 📍 서울시 아이돌봄 지원센터: ☎ 120 다산콜센터
- 📍 홈페이지 신청: 공식 홈페이지 바로가기